
김동희, 석운동, 오종, 이웅열, 정소영, 인사이드 아웃 프로젝트(Inside Out Project) by JR, OBBA 등이 참여하며, 조각, 설치, AR 등 장소 특정적 작품을 통해 과거의 흔적을 새롭게 이해하면서 현재와 미래를 그려본다.


ACC는 모두가 향유할 수 있는 열린 문화기관이 되고자 물리적, 심리적 장벽을 없애고 전시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전시 접근성 강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 관람을 위해 ACC는 무장애(배리어 프리) 동선을 개발하고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확대글자, 촉각 도표, 음성해설이 들어간 홍보물을 준비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해설 작품 감상 가이드는 배우 김홍표의 재능기부로 녹음했다.
전시가 열리는 10-11월 두 달간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터치 투어도 진행할 예정이다.
이강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당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새로운 만남과 사건의 현장으로 ACC가 기억되길 바란다”면서 “야외활동하기 좋은 가을을 맞아 ACC 현장 전시를 통해 시민 모두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