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양식장 질병 제어 위한 자생 파지 연구, 국제학술지 등재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비브리오균을 표적으로 하는 신종 박테리오파지 3종을 국내 새우 양식장에서 분리 후 그 특성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미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연구진은 전남 진도 지역 새우 양식장 배출수에서 분리한 박테리오파지 3종에 대해 형

post

세계 100여 마리인 ‘뿔제비갈매기’ 유전체, 국내 연구진이 완전 해독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국립생태원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뿔제비갈매기의 유전정보를 최근 완전히 해독했다고 밝혔다.▲뿔제비갈매기. 제공 호남권생물자원관.뿔제비갈매기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대만 등의 무인도에서 전 세계적으로 약 100마리만 남아

post

섬 생물자원의 숨은 효능, 한 권에 담다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지역의 야생생물자원 정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료집 ‘생리활성’을 발간했다. 이번 책자는 섬 생물자원의 생리활성 효능과 관련 연구성과를 알기 쉽게 정리한 것으로, 지난 2021년 개관 이후 처음 선보이는 종합 자료다.▲ 자료집 ‘생리

post

대형 쥐가오리, 서해 연안에서 발견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지난 2024년 7월 전남 영광군 연안에서 조업 중에 혼획된 대형 쥐가오리(학명 : Mobula mobular)를 지역 어민으로부터 기증받아 학술표본으로 제작했다고 4월 14일 밝혔다.쥐가오리는 머리 양쪽에 난 한 쌍의 지느러미가 마치 악마의 뿔을

post

섬과 연안의 생물자원 통계자료집 제공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지난 2021년 개관 이후 100여 개 유·무인도를 대상으로 조사와 연구사업을 통해 축적한 섬과 연안 지역의 생물자원 정보를 통계화해 제공한다고 밝혔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개관 이후부터 현재까지 총 11만4천311점의 생물 표본을 확보했으며, 이

post

호남권생물자원관, 항생제 내성균 잡는 신규 천연 물질 개발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민관 합동으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상처 치료와 폐 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신규 ‘항균 펩타이드’를 최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이번 ‘항균 펩타이드’ 개발에는 △전남대학교 약학과 조남기 교수팀 △인실리코젠 펩타이드 연구팀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post

쥐오줌풀 뿌리 특허 활용한 화장품 선보인다

학술자료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쥐오줌풀 뿌리(길초근)의 피부개선 효과에 대한 특허를 활용한 화장품 시제품을 최근 개발했다고 밝혔다.‘쥐오줌풀’은 마타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말린 뿌리는 전통적으로 심신불안, 불면증, 진통제 등으로 사용됐다. 이 식물은 특유의

post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칡잎 추출물 활용 ‘뇌 건강 개선’ 원천기술 확보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칡잎 추출물의 뇌 건강 개선 효과를 입증해 천연물 기반 식·의약 산업화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최근 밝혔다.칡은 콩과(科)의 다년생 덩굴식물로, 전통적으로 칡잎은 우리나라에서 무침, 쌈 등의 식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항산화, 항염, 항당뇨 등

post

목포 고하도에서 ‘신종-미기록종 묶음’ 발견!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자원관 청사 내(목포시 고하도)에서 주머니나방과(科)의 신종 ‘가로줄집주머니나방(가칭), Oiketicoides gohadoensis (오이케티코이데스 고하도엔시스)’와 이 종에 기생하는 미기록종 기생파리과(科) ‘Neophryxe psychidi

post

익산 왕궁리유적 11차 발굴조사와 고증연구 성과 담은 책자 5권 발간

학술자료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익산 왕궁리유적의 고증연구계획과 분야별 연구 성과를 종합한 고증연구 기초자료 보고서와 지난 2017년부터 2022년까지의 왕궁리유적 발굴 성과를 정리한 발굴중간보고서 등 책자 5권을 지난 18일 발간했다.▲ 익산 왕궁

post

태안 양잠리 갯벌 출토 ‘마루장식기와’, 어린이 그림책으로 탄생

학술자료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지난 2021년 태안 양잠리 갯벌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왕실 마루장식기와(취두)를 활용한 어린이 그림책 ‘지붕에 올라간 용, 취두’를 27일 발간했다.마루장식기와는 목조건축의 지붕마루에 사용돼 건물을 수호하거나 권위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는

post

전남 도서 지역에 희귀식물 자생지 발견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올해 실시한 도서 지역 식물상 조사에서 멸종위기 야생식물을 비롯한 다양한 희귀식물의 신규 자생지를 다수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조사는 ‘도서 지역의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의 일환으로 총 21개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조사 결과

post

멸종위기종 진노랑상사화, 유전적 다양성은 낮지만...개성은 뚜렷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이자 한반도 고유종인 진노랑상사화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낮은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별 고유한 유전적 특징을 확인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진노랑상사화 꽃. 제공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진노랑상사화는 수선

post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염생식물 환경정보 자료집(Ⅱ)’ 발간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지난 17일 해안에 분포하는 염생식물과 생육지 환경에 대한 종합정보를 담은 ‘염생식물 환경정보(토양, 기후) 자료집(Ⅱ)’ 책자를 발간했다고 밝혔다.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개관 이후 염생식물의 보전과 활용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

post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해양 세균, 유류 오염 정화 잠재력 입증

학술자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18일 무안군 해역에서 분리한 해양 세균 두 종의 유류 오염 물질 분해 기여 가능성을 제시했다.연구진은 무안군 해역에서 채취한 해수로부터 분리한 탈라소탈레아( Thalassotalea)속 두 세균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원유에 포함된 방향족 화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