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는 국가유산인 충효동요지를 보존하고, 시민들에게 무등산 분청사기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1998년 북구 금곡동에 ‘무등산 분청사기 전시실’을 조성했다.
그러나 25년이 지나면서 전시실이 낡은 데다 콘텐츠도 빈약해 ‘분청사기 도예창작소 조성사업’을 추진, 사업비 40억원을 투입 2년여 간의 리모델링을 마치고 지난 28일 재개관했다.
전시실은 실감영상 등을 활용한 체험콘텐츠 위주로 재탄생했다. 전국 최대 규모의 3m 퇴적층을 투명 디스플레이로 재현해 전시하고, 국립광주박물관이 대여한 명문 분청사기 유물 10점을 전시하는 등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볼거리’가 즐비하다.
특히 전시실 내 조성된 실감콘텐츠 전시관에서는 사기장의 삶을 엿볼 수 있다. 디지털 사기장 공방에서는 분청사기 제작 과정 체험을 통해 완성한 ‘나만의 분청사기’를 포토카드로 제작할 수 있다.
광주시는 시민들에게 도자문화의 역사와 예술성을 알릴 수 있도록 인근 평촌도예공방과 연계한 도자기 체험행사와 문화유산 해설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또 충효동과 화암동 일대 가마터 보존과 정비를 위해 ‘정밀지표조사’도 실시한다. 특히, 조선시대 백자 파편이 다량 발견되면서 고급 백자 제작장소로 추정하고 있는 화암당 백자가마터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를 오는 10월까지 실시한다.
충효동요지와 주변 가마터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도 12월까지 실시해 문화유산 지정구역 범위와 현황을 파악하고 무등산일대 가마터 성격 등을 살필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전순희 문화유산자원과장은 “충효동 가마터는 한국도자사 연구의 보고이자 조상들의 섬세한 미적 감각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광주가 대한민국을 넘어 아시아 도자문화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존과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