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7월 2일 오후 7시 30분에는 최만 이수자(판소리고법)와 정유경 이수자(가야금산조 및 병창)가 함께 만든 ‘가야人鼓’가 무대에 오른다. ‘가얏’(가야금의 옛말)과 ‘고’(북)의 만남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어우러짐, 인연과 화합의 의미를 선보이고자 하며, 양철장구·죽장구 등 전통타악기의 복원, 새로운 장단의 창작을 비롯해 구전민요에 선율을 입히고 산조에 구음병창을 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출은 손혜선 씨가 맡았다.
오는 7월 5일 오후 4시에는 김영은 이수자(경기도도당굿)와 권효진 이수자(승무)가 함께 한 ‘기억된 신명 x 생명의 DNA’가 무대에 오른다. 굿과 승무라는 전통의례와 춤이 만나, 몸이 기억하는 생명의 흐름과 신명의 감각을 예술로 풀어낸 작품이다. 두 전승자는 굿의 정화와 해원(解冤, 맺힌 한을 풀어줌)의 구조를 바탕으로, 소리와 몸짓을 통해 관객들을 치유의 무대로 연결한다. 전통 의례의 엄숙함과 춤의 역동성, 그리고 타악의 울림이 어우러지며, 의례와 무대의 경계를 넘나드는 감각적 공연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연출은 홍원기 씨가 담당했다.
공연은 전석 무료이며, 사전예약제로 운영된다. 예약은 6월 25일부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 또는 전화(063-280-1500, 1501)를 통해 선착순으로 가능하다. 자세한 공연 정보와 출연자 소개는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