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하도 마을과 함께하는 썬셋마켓
전시·공연고하도 마을, 목포시,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협력해 추진하는 마켓행사가 오는 10월 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전남 목포시 고하도 안길 99)에서 운영된다.‘고하도 썬셋마켓’은 마을주민들이 중심이 돼 직접 준비하고 운영하는 마켓으로 국립호남
고하도 마을, 목포시,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협력해 추진하는 마켓행사가 오는 10월 5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전남 목포시 고하도 안길 99)에서 운영된다.‘고하도 썬셋마켓’은 마을주민들이 중심이 돼 직접 준비하고 운영하는 마켓으로 국립호남
국립남도국악원은 오는 10월 5일 토요일 오후 3시 대극장 진악당(전남 진도)에서 국악연주단의 가·무·악 종합공연 ‘국악의 향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무더웠던 무더위가 물러나고 높은 가을 하늘에 어울리는 ‘풍요’를 주제로 준비했다. ▲ ‘국악의 향연’ “풍요” 웹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아랍문자, 예술이 되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오는 10월 8-17일까지 ‘ACC 테마강좌-예술로 아랍문화를 경험하다’를 운영한다. ▲ ‘아랍문자, 예술이 되다’ 연계강좌 포스터. 이미지 아시아문화전당.‘아랍문자, 예술이 되
광주호 상류를 지나 한참을 가다보면 도로변에 무등산 평촌명품마을 표지판이 눈에 들어온다. 작은 다리를 건너 한참을 들어가면 평촌마을이 나타난다. 마을 입구에 있는 무돌길쉼터와 반디민박 건물만 빼면 여느 농촌마을과 다름없다. 오히려 여느 농촌마을보다 훨씬 생태적으로 풍부
고려청자, 조선백자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도자기로 꼽히는 분청사기. 고려말에 고려청자의 변화에서 시작된 분청사기는 조선 초기부터 크게 발전했다. 세종때는 전국에 자기와 도기를 생산하는 공납요가 324개에 이를 만큼 번성했다. 16세기 초 백자의 등장과 번성에 따라 자연
분청사기의 매력에 빠져 30여년간 분청사기의 복원과 전파에 노력을 쏟아온 박양수 도예가(68). 박 도예가는 고흥에서 유일하게 전통 방식의 분청사기 제작과 후진 양성 등을 통해 분청사기의 새로운 부흥시대를 개척하기 위해 외롭게 분투하고 있다.▲ 대형 접시 제작을 위해
국립전주박물관에서는 오는 10월 세계유산 백제 아카데미와 가죽공예 체험 등 특별한 문화행사가 펼쳐진다. 우선, 10월 5일에는 가죽공예 ‘미니 카드지갑 만들기’ 체험행사가 오후 2시와 4시 두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또 세계유산 백제 아카데미 10월 강좌가 11일과 25
김민철 장구 고수(31)는 국악 타악기의 소리를 탐구한다. 어깨춤을 들썩이게 하는 장구와 북을 비롯, 다양한 국악 타악기의 소리에 집중한다. 사람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는 독보적인 소리의 영역을 구축해간다. 소리 탐구가이자 sound maker다. 국악기만의 영역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오는 10월 4-5일 ACC 예술극장 극장2에서 새로운 형식의 전통예술공연 ‘판 ; PAN’을 선보인다. ‘판; PAN’은 동시대 사회 현상과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들의 이야기를 다양한 공연예술 언어로 무대 위에 펼쳐내는 프로젝트이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은 성인 대상 문화 강좌 서예인문학 ‘시작(始作)’ 프로그램 수강생을 모집한다.‘서예인문학’은 서예문화를 주제로 한 국립전주박물관의 특화 프로그램으로, 과거에서 현재까지 우리 일상 속에 함께하고 있는 서예문화를 발견하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ACC 크리에이터스 레지던시’ 참여자가 참가하는 ‘크리에이터스 토크’를 오는 28일 문화창조원 창‧제작스튜디오 미디어 시연실에서 개최한다.올해 ACC 크리에이터스 레지던시 사업은 인공지능·인간·다중우주를 주제로 아트&테크놀로지 분야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공주시와 함께 오는 10월 5일 오후 5시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충남 태안군) 야외공간에서 2024년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 음악회 ‘바다에 핀 연정(戀情)’을 공동 개최한다.이번 공연은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서 전시관의 역할을 확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오는 10월 3-6일 4일간 ACC 예술극장 빅도어 야외무대 일대에서 ‘아시아아트마켓’을 개최한다.▲ ‘아시아아트마켓’ 포스터. 제공 국립아시아문화전당.올해 3회째를 맞은 아시아아트마켓은 ‘2024 아시아문화주간(10월 3-13일)’의
한지의 물성이 가진 치유적인 힘에 주목하는 한지공예작가 강미라 작가. 한지를 주물러 해체시킨다. 다시 붙이고 뜯고 자르고를 반복한다. 마침내 치유와 돌봄을 이야기하는 조형물로 재탄생시킨다.특유의 따뜻하고 온화한 느낌의 한지 그림과 조형물이 멋짐과 화려함을 담담하게 내뿜
국립남도국악원은 오는 9월 28일 토요일 오후 3시 대극장 진악당(전남 진도)에서 기획공연 젊은 예인전 Ⅰ ‘전통의 미래’ 공연을 펼친다.젊은 예인전은 국립남도국악원의 예술적 기량 및 경쟁력을 갖춘 국악 연주단원들이 준비한 공연이다. 각자 공연 구성부터 연출, 안무,